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오늘의 생활정보

  • 블로그에 본문공유
  • 페이스북에 본문공유
  • X에 본문공유
  • 프린트
  • 폰트크게
  • 기본 폰트 크기로
  • 폰트 작게
  • 주소복사

오늘의 식품안전 생활뉴스를 제공합니다.

오늘의 식품안전 생활정보 게시판 상세내용의 제목, 등록일, 국가, 정보구분, 조회수, 정보원, 내용,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표
제목 ' 23년 라면, 김치 수출 역대 최고, 기내식 생산도 가파른 성장세
등록일 2024-08-02 수집일 2024-08-01 조회수 55
URL 참조 URL보기 *상세 내용은 참조 URL을 참고하십시오.
내용  ‘23년 라면(유탕면), 김치 수출 역대 최고, 기내식 생산도 가파른 성장세
- 라면 9억5천2백만 달러(24.4%↑), 김치 1억9천8백만 달러(45.7%↑) 수출 상승
- 코로나19 이후 해외여행 증가로 기내식(도시락) 생산 9천 649억 원(63.4%↑)
- ‘23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총 108조 4,875억 원, 2년연속 100조 원 돌파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2023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100조 원을 돌파한 가운데 전년(104조 8,190억 원) 대비 3.5% 증가(108조 4,875억 원)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생산실적(생산액) : 영업기간 내에 생산한 해당 제품의 제조원가를 천원 단위로 계산한 금액
   ** (’21) 93조 1,580억 원(10.5%↑)→(’22) 104조 8,190억 원(12.5%↑)→(’23) 108조 4,875억 원(3.5%↑) 
 
 ’21년, ’22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코로나19로 인한 외식 감소와 가공식품 소비 증가로 인해 각각 10.5%, 12.5% 상승했던 것에 비해 ’23년 생산실적은 코로나19 종식으로 인해 코로나19 이전과 유사한 수준의 성장률을 보였다. 
 
 ’23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 2,236조 3,294억 원 대비 4.9%,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546조 6,640억 원 대비 19.8%를 차지했다. 
 
’23년 생산실적 108조 4,875억 원 중 식품 등(식품, 첨가물, 용기포장 등)은 69.9조 원(64.5%), 축산물은 35.8조 원(33%), 건강기능식품은 2.7조 원(2.5%)이며, 수출실적은 7조 2,343억 원으로 ’22년 수출실적 7조 4,444억 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2023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으로 살펴본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식품 등] 한류 K-푸드 열풍과 적극적인 규제 외교로 라면(유탕면, 24.4%↑), 김치류(45.7%↑) 등 수출실적 전년 대비 크게 증가, 기내식(도시락)으로 이용되는 즉석섭취식품의 생산도 가파른 성장세
2 [축산물] 최근 5년(’19년~‘23년)간 생산실적 지속 증가세이며, 전년 대비 3.8% 상승, 여전히 돼지고기 포장육‧소고기 포장육‧양념육류가 전체 식품별 생산실적 1~3위 품목 차지
3 [건강기능식품] 전년 수출액 대비 15.4% 증가. 특히 칼슘(416.6%↑), 비타민E(576.6%↑), 스트레스 등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테아닌(300.1%↑) 제품 수출실적 전년 대비 크게 증가
4 [생산실적 상위업체] 1조 원 이상 업체 총 11개社로 전년 대비 2개社(롯데웰푸드㈜, 동서식품㈜) 추가, 상위 순위 변동 
 
(*)자세한 내용은 원문참조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