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뉴스] 곰팡이 같은 흰색 막이 생긴 김치, 버려야 하나요?
S#1. 표지
식품안전뉴스
곰팡이 같은 흰색 막이 생긴 김치, 버려야 하나요
S#2. 서론
혹시 곰팡이처럼 보이는 흰색 막이 생긴 김치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S#3. 신고 및 문의 사례
부정·불량식품신고센터(☎1399)에는 김치 등 발표식품에서 곰팡이 등이 발견됐다는 신고·문의가 꾸준히 접수되고 있어요.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아요.
사례 1. 깍두기에 하얗게 곰팡이가 피어 있어요.
사례 2. 김치에서 흰색막을 발견했어요,
사례 3. 샐러드 내용물 중 할라피뇨 피클에 하얀 곰팡이가 보여요.
S#4. 골마지 정의
김치에서 주로 발견되는 흰색망의 정체는 무엇인가요?
이것은 곰팡이가 아닌 골마지예요.
골마지란, 김치 겉면에 생기는 곰팡이 같은 흰색막을 말하며, 발효 후기에 유산균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효모에 의해 나타나요. 골마지가 생긴 김치는 점점 물러지고, 군내가 발생하게 되요.
S#5. 김치 골마지 안전성 및 섭취방법
그렇다면 골마지가 생긴 김치는 버려야 하는 걸까요?
골마지는 효모 덩어리로 독성이 없기 때문에 골마지가 생긴 부분을 걷어내고 물로 씻은 뒤 조림, 찌개 등으로 조리하면 먹을 수 있어요.
그러나 만약 골마지가 아닌 실모양처럼 생긴 다른 색깔의 곰팡이를 발견했다면 절대로 먹지 않도록 하세요!
S#6. 김치 골마지 예방법
김치의 골마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것을 기억하세요.
김치를 보관할 때는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김치표면을 비닐로 덮거나 국물에 잠기게 한 후 4도씨 이하로 보관하세요.
골마지는 김치 표면이 공기에 많이 노출되거나 저온보다 상온에서 보관할 경우 잘 나타나요.
김치를 만들 때는 배추 등 원재료 세척에 주의를 기울이고, 고춧가루, 젓갈 등도 깨끗하고 불순물이 없는지 확인한 후 사용하세요.
골마지는 원료의 상태가 좋지 않거나 세척이 덜 되었을 때 더 빨리 나타날 수 있어요.
S#7. 마무리(1)
부정·불량식품을 발견했다면 국번없이 1399에 신고해주세요.
인터넷, 모바일을 통해서도 신고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식품안전나라(https://www.foodsafetykorea.go.kr)→통합민원상담→부정불량식품신고→소비자신고
[모바일 앱] 내손안(安)식품안전정보 → 소비자신고
|
S#8. 마무리(2)
식품안전정보, 알면 알수록 건강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