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오늘의 생활정보

  • 트위터에 본문공유
  • 페이스북에 본문공유
  • 블로그에 본문공유
  • 프린트
  • 폰트크게
  • 기본 폰트 크기로
  • 폰트 작게
  • 주소복사

오늘의 식품안전 생활뉴스를 제공합니다.

오늘의 식품안전 생활정보 게시판 상세내용의 제목, 등록일, 국가, 정보구분, 조회수, 정보원, 내용,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표
제목 식약처, HACCP(해썹) 위해요소 분석 정보 온라인 제공 확대
등록일 2025-01-09 수집일 2025-01-08 조회수 48
URL 참조 URL보기 *상세 내용은 참조 URL을 참고하십시오.
내용 식약처, HACCP(해썹) 위해요소 분석 정보 온라인 제공 확대
 - 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200종) 및 식품별 기준·규격 정보 온라인 제공
 - 해썹 품목별 기준·규격과 위해요소 분석 정보를 한 번에 조회
 - 위해요소 분석 비용 절감으로 경제적 부담 해소, 효율적인 해썹 운영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이하 ‘식약처’)는 소규모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해썹)* 인증(준비) 업체 등이 효율적으로 해썹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하 ‘인증원’)과 함께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와 식품별 기준·규격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식품위생법」 제48조 및 「축산물위생관리법」 제9조에 따라 식품·축산물의 제조·가공·유통 등 모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 과정의 위해요소를 확인·평가하여 중점 관리하는 사전예방적 시스템
 그간 식약처와 인증원은 분석 비용 부담 등으로 위해요소 분석*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2021년부터 식품안전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식품원료 총 163종에 대한 ‘식품원료별 위해요소분석 정보’를 제공해 왔다.
   * 시험·검사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위해요소 분석(위해요소 도출, 심각성·발생가능성 평가 등)하고, 중요관리점 결정에 활용
  ** 데이터베이스, 전자화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해 업무수행 중 생성‧취득‧관리하는 전자적으로 처리된 자료 또는 정보 등
 올해는 해썹 적용업체 등이 더욱 다양한 위해요소 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식품원료를 총 200개로 확대*하고 이를 인증원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누리집(www.haccp.or.kr) > 스마트HACCP > ‘위해요소 정보’ 또는 ‘해썹 품목 정보’ 탭
 새롭게 추가되는 식품원료는 국내 부적합이 잦은 식품원료 21종*과 귀리, 두부, 올리브유 등 즉석조리식품·즉석섭취식품에 많이 사용되는 식품원료 16종이다.
  * 가지, 고수(잎), 냉이, 미나리, 시금치, 넙치(광어), 조피볼락(우럭), 소고기 등
 이와 더불어 식품원료와 제조방법이 다양해 평소 쉽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식품의 기준·규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해썹 품목별 기준·규격*과 위해요소 분석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 [공통 기준·규격] 식품원료기준, 오염물질, 농약·동물용의약품 잔류허용기준 등
     [식품별 기준·규격] 섭취대상(영·유아, 고령자), 보존방법(통·병조림, 레토르트식품, 냉동식품), 식품유형별 개별 기준·규격 등
   ** 누리집에 회원가입한 업체는 ’24. 10. 15일 이후 품목제조보고된 제품(변경보고 포함)에 한해 해당 제품의 원료별 맞춤형 기준·규격도 조회 가능
 이로써 업체는 시험·검사 등 위해요소 분석 비용이 절감*되고 경제적 부담이 해소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해썹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업체별로 연평균 비용 약 498만원, 인력 0.4명 절감
 참고로 지난해 해썹 적용업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약 79%가 식약처가 제공하는 위해요소 분석 정보가 해썹 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답하는 등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약처와 인증원은 앞으로도 제조 공정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도 추가로 제공하는 등 업계의 해썹 운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안전한 식품 제조·유통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붙임> 1. 위해요소 분석 정보 제공 원료(200개)
         2. 위해요소 분석 및 해썹 품목 기준·규격 정보 제공 화면
첨부파일